본문 바로가기
독일

독일 취업준비비자에 대하여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by Hella 2023. 8. 8.
반응형

취업준비비자란 말 그대로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거주를 허가받은' 비자를 의미한다. 독일어로는 Visum zur Arbeitsplatzsuche라고 한다. 크게 2가지 상황에서 취업준비비자를 받게 된다. 첫번째는 유학생들이 졸업 후 받게 되는 비자이다. 만약, 졸업을 하게 되면 학생 신분은 끝이 나게 되고 자연스럽게 학생 비자도 더 이상 연장할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졸업 후에 취직을 하고 싶다면 취업준비비자를 받아서 구직 활동을 할 수 있다. 두번째는 우리나라에서 독일로 취업을 하기 위해 이민을 오는 케이스로, 일자리를 찾지 못한 경우 취업준비비자를 받아 독일에 와서 구직 활동을 할 수 있다.

 

 

취업준비비자 기간 6개월? 18개월?

 

그런데 문제는 취업준비비자의 기간이 18개월이라는 곳도 있고, 6개월이라는 곳도 있다는 것이다. 적지 않은 차이라 준비하는 외국인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독일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홈페이지인 Make it it Germany에서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깔끔하게 정리해보겠다.

정답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유학생이냐 아니냐에 따라 달라진다.

 

- 독일에서 유학을 마친 사람: 최대 18개월
- 독일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 학위를 마친 사람: 최대 6개월

단, 18개월 최대로 받기 위해서는 졸업증명서, 건강보험증명서, 재정증명서가 필수이며 구체적인 준비서류는 본인 거주 지역 관할 외국인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도록 하자.

 

 

취업준비비자 신청 시기

 

만약 본인이 유학생이고 졸업을 앞둔 상태라면, 지금 가지고 있는 거주허가증(Aufenthaltserlaubnis)의 거주 기간이 끝나기 전에 취업준비비자를 미리 신청해야 한다.

 

 

취업준비비자 신청 시 준비 서류

1) 비자신청서 (빠짐없이 기재하고 서명까지 완료할 것)

2) 유효한 여권 (여권 유효기간 더블체크)

3)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여권사진 2매 (2.5 x 4.5 cm)

4) 독일대학 졸업증명서

5) 재정증명서 

6) 의료보험 증명서 (Krankenversicherung-Mitgliedsbescheinigung)

7) 거주지 등록증 (지역에 따라 요구하는 곳도 있고, 하지 않는 곳도 있음. 이전에 방문 이력이 있다면, 보통 요구하지 않음)

8) 비자 신청 수수료

 

 

독일 취업준비비자 재정 증명 기준이 되는 금액은?

 

이번에 졸업을 하면서 취업준비비자를 신청하게 되었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학생비자의 경우 최소 생활비 기준이 950유로라고 하면, 취업준비비자는 그 기준이 완전히 달랐다. 

담당자도 구체적으로 얼마 이상이어야 한다고 알려주지 않고, 얼마가 모자란지만 이야기를 해주어서 명확하지가 않지만 대략 월 1,500유로 이상을 증명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내가 증명한 금액에서 마이너스 금액을 더하면 알 수 있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내가 증명한 금액 (최근 12개월 간의 급여내역서)이 매월 일정하지 않고 오르락내리락 했기 때문에 평균치를 낸 것인지 아니면 최근 급여를 기준으로 한 건지 알 수가 없었다. 위에 내가 계산한 1,500유로는 최근 급여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 

좀 따져보려고 인터넷에 관련 정보를 찾았는데 구체적으로 최저 생활비 금액이 공식 사이트에 나와있는 학생비자와는 달리 취업준비비자는 '재정 상황이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말만 있을 뿐 구체적인 금액이 적힌 공식 사이트나 개인 경험담조차 찾기가 어려웠다. 

짐작하건대, 물가가 오르고 하니 그때 그때의 상황마다 좀 다른 것 같기는 하다. 

그러니 나처럼 학생 비자 때의 최소 생활비 기준을 생각하고 동일한 금액으로 재정 증명을 시도하시는 분들은 두 번 하지 않도록 학생 기준 생활비보다 더 넉넉하게 준비해서 증빙하시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물어보시길 바란다.

내 경우 그냥 최근 12개월 급여내역서를 보내라고만 했고, 최저 기준치가 얼마인지 미리 말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이 앞으로 취업준비비자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함부르크, 2025년 3월 기준)

 

 

 

 

 

 

댓글